1. 배트맨
2. 아이언맨
3. 시크릿 가든
개그는 개그일 뿐…

건희제는 범죄와 비리의 도시 서울을 개선시키는데 평생을 바치다 라희와 함께 뒷골목에서 칼을 맞는다.
하지만, 삼별과 JY는 범죄집단의 힘에 눌려 합법적인 복수를 하지 못한다.
한편, 건희제가 죽은 뒤 학수는 아들 JY를 허수아비로 만들고 삼별을 자기것으로 만들려고 한다.
JY는 술과 여자 등의 모든 쾌락을 버리고 스스로를 단련한 뒤 자경단으로 활동한다.
현실: 건희제, JY, 학수는 한패며, 그들이 범죄와 비리의 근원.

하지만, 삼별과 JY는 범죄집단의 힘에 눌려 합법적인 복수를 하지 못한다.
한편, 건희제가 죽은 뒤 학수는 아들 JY를 허수아비로 만들고 삼별을 자기것으로 만들려고 한다.
JY는 술과 여자 등의 모든 쾌락을 버리고 스스로를 단련한 뒤 자경단으로 활동한다.
현실: 건희제, JY, 학수는 한패며, 그들이 범죄와 비리의 근원.
2. 아이언맨
전자/기계공학 등 공학계 다방면의 천재였던 건희제는 삼별을 거대기업으로 키운다.
이 삼별을 이어받은 JY 역시 전자/기계/컴공 등 다방면의 천재.
JY는 정체불명의 외국 테러리스트에게 납치당하지만, 천재적 지식과 강한 정신력으로 장비를 만들어 탈출한다.
그런데, 돌아와보니 학수는 JY의 기술력을 훔치고 그를 죽이려한다.
현실: 건희제, JY, 학수는 한패며, 기술 따윈 모르고, 엔지니어는 노예이며, 그들이 테러리스트.

이 삼별을 이어받은 JY 역시 전자/기계/컴공 등 다방면의 천재.
JY는 정체불명의 외국 테러리스트에게 납치당하지만, 천재적 지식과 강한 정신력으로 장비를 만들어 탈출한다.
그런데, 돌아와보니 학수는 JY의 기술력을 훔치고 그를 죽이려한다.
현실: 건희제, JY, 학수는 한패며, 기술 따윈 모르고, 엔지니어는 노예이며, 그들이 테러리스트.
3. 시크릿 가든
삼별을 이어받을 JY는 병역을 현역으로 필한 까다로운 도시의 남자.
노블리스 오블리제를 언제나 실행해야 된다고 어릴 때부터 배워 실행하려 노력한다.
또한, 미학에도 일가견이 있어 안목이 높다.
그러다 스턴트우먼에게 사랑에 빠진다.
현실: JY는 골프를 잘 치지만, 병역은 허리병신이라 면제. 노블리스 오블리제 따윈 개나 줘버려. 안목따윈 없을듯. ㅋ

노블리스 오블리제를 언제나 실행해야 된다고 어릴 때부터 배워 실행하려 노력한다.
또한, 미학에도 일가견이 있어 안목이 높다.
그러다 스턴트우먼에게 사랑에 빠진다.
현실: JY는 골프를 잘 치지만, 병역은 허리병신이라 면제. 노블리스 오블리제 따윈 개나 줘버려. 안목따윈 없을듯. ㅋ
개그는 개그일 뿐…
위엄의 상징, "정신병으로 병역 면제" 건희제.
'웃기는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달에 5개의 금토일이 있는 행운의 달이라고? (14) | 2011.07.12 |
---|---|
가카의 날씨 앱 비디오 버전 (3) | 2011.05.29 |
건희제와 수퍼 히어로 망상 (10) | 2011.01.14 |
대박개그: 여자들이 크리스마스라고 설쳐대는 것 자체가 문젭니다 (두분토론) (1) | 2010.12.25 |
(유머) 이들도 알고 보면... (3) | 2010.12.21 |
멍청한 골키퍼 그 이후… (4) | 2010.09.29 |
-
qp 2011.01.14 15:40
시작부터 보다가 뒤집어졌네요. ㅋㅋ (그들이 범죄와 비리의 근원)
'현실' 부분을 접기-펴기로 설정하면 극적인 요소가 한층 상승될거 같기도 하고
오히려 특유의 담백한 맛이 사라질 거 같기도 하고 그러네요.
아무튼 이런 글 볼 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글은 최소한의 내용만으로도 주제를 표현하는데 부족함이 없는 글이 진짜 좋은 글이고
너절하게 늘어뜨린다고 잘 쓰는게 아니라는 사실. -
koc/SALM 2011.01.14 19:31
횡경막 땡기고, 사래 들리고...
웃다가 죽는 줄 알았음.
개인적으로 1번이 끝으로 가면 더 완벽할 듯.
[quote]범죄와 비리의 근원.[/quote]
[emo=051]-
koc/SALM 2011.01.15 09:23
흠, 그렇군요. 생각해 보니, 슈퍼맨으로 꾸민다면, 건희제보다는 '[b][color=blue]블루[/color]마우스[/b]'가 낫겠군요.
그렇죠?
-
koc/SALM 2011.01.24 18:14
저 마지막 개 그림을 보니, "[color=red][b]개그림[/b][/color]"이 생각나네요.
개그+그림... 개그라는 말이 있어서 더욱...
Recent comment